전세자금 대출이 갭투자 키웠다.

반응형

팩트.

-전세자금대출이 사상 처음으로 200조원을 넘어섬. 
-주택가격전망지수는 97로 전달보다 3포인트 떨어졌다.

1) 2011년 '반값 아파트'로 불리던 보금자리주택 공급 발표로 매매 수요가 크게 위축되고 전세 가격이 급등하는 등 '전세 대란'이 발생
2) 전·월세 시장 안정화 대책 (2013년 SGI서울보증 전세대출 한도가 2억원에서 3억원으로 증액됐고 2015년에는 5억원까지)

  • 주택금융공사 2억2000만원 
  • 주택도시보증공사(HUG) 4억원
  • SGI서울보증 5억원 
  • 주금공, HUG, 서울보증 모두 임차보증금의 80%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 주금공과 HUG는 수도권 기준 보증금 7억원이 넘는 고액 전세에 대해서는 보증서를 발급하지 않고 있지만 SGI서울보증은 이런 제한이 없다.

의견

- 전세자금대출이 그동안 전셋값과 집값을 떠받치면서 '갭투자 열풍'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돼 왔다
- 금리 상승으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 (집값이 전셋값에도 미치지 못하는) '깡통 전세'가 발생하고 갭투자 손실이 확대되면서 전반적인 부동산 대출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
- 지난해 서울 강서구, 은평구 등 비강남권 지역에서 다세대·빌라 등을 전세 끼고 실투자금 1억원 안팎에서 사들이는 갭투자가 크게 늘었다
- 갭투자를 위해 신용대출이나 다른 전세대출 등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아 관련 대출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도 작지 않다
- 전세대출은 선진국에는 비슷한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데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나왔기 때문에 위기 상황에서 어떤 파급효과가 나타날지 검증된 바 없다
- 정부가 전세대출이 투기 용도로 활용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세대 빌라의 큰 단점이 하락장에서 크게 위축된다는 것이다. 갭투자는 항상 전세가와 매매가의 차이로 인해 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투자해야한다. 
투자 시에 환수원리를 기반으로 해야하며, 특히 리스크 관리는 구체적인 상황과 플랜을 짜고 내가 감당이 가능할 때 투자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부동산 중에서도 안전한 자산이 아파트인데, 단지 투자금이 적다고 (공부도 안하고)연립, 빌라에 투자를 한다는 건 어리석은 짓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