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진시스템은 어떤기업이지? 서진시스템의 주가는?

반응형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맹고입니다. 오늘은 서진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서진시스템은 무슨일을 하지? 

서진시스템은 2007년 10월 설립되어 2017년 3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통신부품 제조업입니다. 친환경, 경량화의 대표 소재인 알루미늄을 주요 원재료로 사용하여 응용제품을 생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사업은 금속가공 기술 및 시스템 설계 역량을 바탕으로 각종 통신장비, 핸드폰, 반도체장비 등의 함체, 구조물, 전기구동장치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2. 서진시스템의 현황은? 

[ 상승중인 매출액 ]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서진시스템의 2분기 연결기준 예상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84.9% 증가한 1412억원,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한 122억원"이라며 "제품별로는 ESS(에너지저장장치) 부품이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이고 가정용품, 자동차 부품을 포함한 기타제품군도 큰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했습니다. 

 



통신부문에선 4G,5G용 제품 공급 확대 및 고개 다변화 추진으로 2분기에도 이런 성장세가 계속 될 것으로 주목했습니다.  1분기에는 통신장비 부품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했습니다. 기존 국내 고객 외에 북미 유럽향 공급업체를 확보하면서 매출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정용품을 포함한 기타매출은 미국 대형마트향 공급이 확대되있어, 중장기적으로 매출 성장이 예상됩니다. 

[ 2차전지 공급 ]

2차전지 부품 공급도 긍정적이 호재입니다. 올해 하반기부터 삼성 SDI에 2차전지 부품 공급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초기 물량은 크지 않지만 공급 안정화와 고객 다변화가 진행되면서 매출 사이즈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지수 연구원은 “내년부터 2차전지 부품 사업은 통신장비 매출액을 뛰어넘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 에너지저장장치 ]


서진시스템은 에너지저장장치 가운데 배터리를 제외한 부분의 각종 부품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서진시스템은 컨테이너박스 형태의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선반, 무정전 전원장치(UPS), 배터리 컨트롤 패널(BCP) 등 에너지저장시스템 케이스와 구동장치 등을 제조·공급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저장장치는 특정시간에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한 뒤 전기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태양광과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인 전력 생산량의 불균형을 해결해줘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설에 꼭 필요한 핵심 인프라입니다. 

 

미국 조바이든 정부를 중심으로 친환경에너지 관련 인프라 투자가 강세인 만큼. 이번 에너지저장장치부품사업은 크게 흥할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진시스템 내부에서도 기대감이 있습니다. 새로운 거래처인 베트남 생산라인이 바쁘게 움직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태양광발전시스템, 해상풍력발전단지 등에 필수인 에너지저장장치시장은 이제 본격적 성장을 시작한 시장으로, 시장의 잠재력이 더욱 기대됩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에너지저장장치시장 규모는 2019년 11.1GWh에서 2021년 29.5GWh로 2배 넘게 커질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3. 서진시스템의 주가는?

서진시스템은 2020년만 해도 에너지저장장치부품부문 매출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4%에 그쳤습니다. 하지만 올해 미국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이 강도 높은 친환경에너지정책 기조를 보이면서 서진시스템의 에너지저장장치부품사업도 물을 만났습니다. 

당장 2021년 1분기 전체 연결실적에서 서진시스템의 에너지저장장치부품부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6.5%로 뛰어올라 기존 주력사업인 통신장비부품 매출(24.4%)을 넘어섰습니다. 1분기 통신장비부품 매출도 2020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70% 늘어나며 호조를 보였는데 에너지저장장치부품 매출은 무려 341% 급증했습니다. 

서진시스템은 3분기, 4분기로 갈수록 매출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눈여겨 볼만한 종목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위글은 단순한 회사 소개 및 개인적인 의견이 있으니, 투자의 몫은 개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