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세스바이오는 무슨일을 하지? 엑세스바이오의 주가는?

반응형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맹고입니다. 오늘은 엑세스바이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엑세스바이오는 어떤 기업이지?

(주)액세스바이오는 체외신속진단검사, 바이오센서, 분자진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를 통해 감염병의 예방과 조기진단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가장 큰 필요와 가장 좋은 일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바탕으로 Bill and Melinda Gates Foundation, 세계 보건 기구, UNICEF 및 기타 여러 기관을 포함한 전 세계의 파트너와 협력합니다.

엑세스바이오는 모든 사람의 생명과 건강을 중시한다는 기본이념으로 의료진단산업의 연구개발과 품질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체외 진단 기술 의 개발을 통해 Access Bio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건강 위협이 되는 말라리아 및 기타 질병과 싸우기 위해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성공적으로 상용화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글로벌 말라리아 퇴치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위한 고품질 신속진단검사(RDT)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엑세스바이오 케어스타트™의 우수한 품질은 세계보건기구(WHO) 요청에 따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말라리아 진단키트 테스트를 통해 검증됐습니다. 이를 통해 Access Bio는 WHO, 유니세프 및 글로벌 펀드를 포함한 국제 기관과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Access Bio는 말라리아 진단에 대한 탄탄한 기반과 축적된 R&D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의 진단 테스트를 개발하고 전 세계 사람들의 웰빙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 엑세스바이오의 현황

엑세스바이오는 미국 식품의약품(FDA)로부터 '올인원(All-In-One) 코로나 항체 신속 진단키트'에 대한 긴급사용승인허가(EUA)를 받았습니다.

승인을 받은 제품은 호주 아토모가 개발한 올인원 디바이스와 엑세스바이오의 코로나 항체 진단 스트립을 결합해 만들었습니다. 진단에 필요한 구성품이 디바이스 내에 장착되어 있어, 진단의 편리성을 크게 개선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간단한 손가락 채혈로 15-20분 이내에 체내의 향체 형성여부를 확인해 현재 및 과거의 코로나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빠른 속도 뿐 아니라 정확도도 임상실험에서 높았습니다.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백신 접종이 가속화되면서, 항체 형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승인을 계기로 접근성이 높은 소형병원이나 약국 내 클리닉 등에서도 당사 제품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엑세스바이오의 자회사 웰스바이오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COVID-19) 항체신속진단키트'careUS COVID-19 IgM/IgG Ab'의 품목허가를 획득하고, 국내 판매를 시작한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웰스바이오의 코로나19 항체 신속진단키트는 환자의 혈액을 채취해 코로나 항체 중 IgM이나 IgG 형성 여부를 확인하고,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키트입니다. 웰스바이오는 계속해서 코로나19 진단키트 판매 국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앞서 웰스바이오는 러시아 연방보건감독국으로부터 지난해 6월 careUS COVID-19 IgM/IgG 승인을 받고, 지난 3월 항원 신속 진단 키트 'careUS COVID-19 antigen'의 임시승인을 받은 바 있습니다.

 

 

3. 엑세스바이오의 주가는?

엑세스바이오는 전 거래일 대비 2.70% 하락한 2만70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엑세스바이오는 지난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60% 늘어난 2257억원,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한 181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습니다. 또한 당기순이익 역시 1222억원으로 흑자 전환했습니다. 

회사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코로나 항원진단키트 긴급사용승인허가를 획득하면서 본격화된 매출이 올해 1분기에도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확대되면서 사상 최대의 분기 실적을 기록할 수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특히 매출총이익률은 89%, 영업이익률은 81%를 기록하면서, 이익률 또한 큰 폭으로 성장했다”며 “이는 생산이 본격화됨에 따라 회사의 경쟁력인 대량 생산능력을 기반으로 한 생산 효율성 확대 효과”라고 덧붙였습니다. 

 

*위글은 단순한 소개및 개인적인 의견이 있으니, 투자의 몫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